• 최종편집 2025-03-21(금)
 
  • KOSI 중소기업 동향 25년도 1월호 발간
K-001.jpg
사진_중소벤처기업연구원

 

 

중소벤처기업연구원(원장 조주현)은 ‘KOSI 중소기업 동향’ 2025년 1월호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1월 중소제조업 생산(-3.1%)은 수출 증가로 ‘반도체’ 등은 증가하였지만, 경기부진 지속, 자동차부품업체 파업 등으로 ‘자동차’, ‘전기장비’ 등에서 줄며 전년동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중소서비스업 생산(-0.3%)은 ‘운수‧창고’, ‘금융‧보험’ 등이 늘었지만, ‘도·소매’ 등이 크게 줄며 감소했다.

 

1.png

 

2024년 11월 소매판매액은 54조 9천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55.4조원) 1.0% 감소하며 부진한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 

 

소매판매액은 ‘편의점(+3.4%)’, ‘무점포소매(+2.1%)’ 등에서 판매가 늘었지만, ‘승용차·연료소매점(-7.4%)’, ‘슈퍼마켓·잡화점(-3.5%)’ 등에서 줄어 감소했다.

 

2.png

 

2024년 12월 중소기업 취업자 수는 2,488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1만 7천명 줄며 큰 폭으로 감소했다.

 

3.png

 

 

 

규모별로 ‘1~4인 업체’의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7천명 증가했고, ‘5~299인 업체’는 12만 4천명 줄며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중소기업의 ‘상용근로자(+12.1만명)’는 증가, ‘임시근로자(-8.5만명)’, ‘일용근로자(-14.9만명)’는 감소했다.

 

4.png

 

2024년 11월 창업기업 수는 9만 208개로 전년동월대비 12.1% 감소하였다. ‘제조업(-11.8%)’, ‘건설업(-11.9%)’, ‘서비스업(-12.3%)’ 등 대부분업종에서 줄며 전년동월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고. 기술기반 창업기업 수는 ‘지식기반서비스업(-7.7%)’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8.4% 감소한 1만 6,636개를 기록했다.

 

5.png

 

최근 중소기업 생산 활동은 반도체 수출과 생산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 업종에서의 부진과 내수회복 지연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감소했고 고물가, 고금리 지속에 따른 소비 여력 약화로 소매판매는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동시에 중소기업 고용과 창업기업 수도 크게 감소했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정책당국은 대내외적 불안요인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소비촉진 지원 및 투자를 통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경기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소비촉진 지원 및 투자로 중소기업, 소상공인 경기 활성화 필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